Monthly Archives: 3월 2016

[이룸생각] 2016-02호 “역발상”

3월 4일, 2016년|

2016년 3월 이룸생각

역발상 투자는 주식 투자자들이 항상 고민하는 부분입니다. 역발상 투자가 성공할 경우, 높은 수 익률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역발상’ 이라는 말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와 정반대되는 생각만이 역발상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중소형주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 대형주가 상대적으로 주가가 좋다’ 혹은 엔화가 약세 면 일본자동차 업체들이 인센티브를 늘릴 것이고 이로 인해 판매가 증가할 것. 즉, 현대차, 기아차 의 판매가 이로 인해 감소할 것이다.’ 와 같은 아이디어가 맞는 경우도 있지만, 꼭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인의 일본 입국이 증가가 이슈화 되면서 일본 화장품 주식들을 사고, 한국 화장품 주식들을 팔아야 한다는 논리가 2015년 초부터 있었습니다. 이 논리는 누가 들어도 당연하다고 생각될 만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에서는 화장품이라는 제품을 많이 사갔지만, 일본에서 는 화장품 말고도 더 다양한 생활용품들을 소비한다는 점을 생각한 투자자는 많지 않았습니다. 대 표적인 제품이 ‘콘돔’입니다. 즉, 모두가 화장품을 떠올릴 때 다른 생활용품을 떠올리는 투자자도 역발상 투자자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역발상 투자란 꼭 정반대로 생각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각도로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고민을 하게 됐습니다. 역발상 투자는 영원한 주식투자의 테마이기 때문에 매일 고민 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투자의 시각을 넓히지 못한다면 완전한 역발상 투자라고 하기에는 무리 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이로 인해 보다 많은 투자의 기회를 놓쳐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룸생각2호 보러가기

[기고문] 행동주의 투자자, 투기꾼으로만 볼 것인가

3월 4일, 2016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활동이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미국계 헤지펀드로 알려진 SC펀더멘탈이 GS홈쇼핑에 배당금을 두 배 수준으로 늘리고 유통주식의 10%를 매입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작년에 이어 올해 주총에서도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사회에서는 주주행동주의, 특히 외국계 헤지펀드에 의한 행동주의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우세한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장기적인 이익에 관심이 없고 오직 시세차익만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거나 이들이 단기차익을 얻고 떠나면 결국 국부의 유출이라고 우려한다. 이들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경영을 할 수 없고 기업의 안정성을 크게 훼손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하지만 순기능도 있다. 행동주의 투자자들은 회사의 주가가 기업의 가치에 비하여 현저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확신하는 경우에 투자한다.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현저하게 낮게 거래될 때 이를 해결하여 결국 대다수 소액투자자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GS홈쇼핑의 경우를 보자.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12,311억 원인데 2015년 말 순자산은 9,150억 원, 순이익은 784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2월 18일 주가187,600원으로 계산한 PER은 약 16배, PBR은 약 1.4배, 작년 배당금은 7700원 기준 배당수익률은 4.1%에 달한다. 시장평균 PER은 약 11배, PBR은 1.1배 그리고 배당수익률은 1% 남짓이니 모두 시장평균을 상회한다. 이 비율만 보면 배당을 더하고 자사주를 매입하라는 헷지펀드의 주장이 과도하다고 할만하다.

그런데 이 회사에는 현금성자산은 7,400억 원이 있다. 소액투자자들의 관점은 홈쇼핑이 대규모 투자가 수반하는 사업이 아니니 회사에 이렇게 막대한 현금을 쌓아둘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 현금 중 상당액을 배당해라 그래도 정상적인 영업을 할 수 있어 주가가 많이 하락하지 않을 것이다. 자사주를 매입해라 그러면 그만큼 주가가 더 올라갈 것이다. 이것이 대다수 투자자의 이익에 부합한다” 이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회사나 경영진은 항변할 것이다. 주가가 저평가된 것이 왜 경영진이나 오너의 책임이냐고. 하지만 주식회사는 주주들의 동업체제이다. 소액주주들도 회사가 사업에서 얻는 과실을 주식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 받을 것이라는 믿고 회사에 투자한다. 설혹 회사가 영업을 지속하는 동안 자기가 먼저 주식을 팔아야 할 경우에도 회사의 성과에 상응하는 가격에 주식을 팔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장회사들은 주식을 거래소에 상장시켜 거래되도록 하는 것이고 주가가 회사의 가치를 적정하게 반영하도록 노력할 의무가 있다.

돌이켜보면 지난번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에 엘리어트가 반대한 핵심요지도 삼성물산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동안 경영진이 이를 방치했다가 내재가치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제일모직과 합병을 결정함으로써 다른 소액주주들의 재산권을 침해하고 궁극적으로 상대방 제일모직 대주주의 이익을 도모했다고 의심한 것이다.

회사의 가치에 대한 평가는 다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장회사의 자산은 대주주만의 몫이 아니라는 점이다. 소액주주들을 투기꾼들이 아니고 이어달리기를 하는 사업의 파트너이다. 외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이들의 이익을 지켜주려고 노력해야 한다. 회사에 자금을 무한정 쌓아두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기대수익률을 만족하는 투자기회를  찾아야 하고 그런 기회를 찾지 못하면 잉여자금을 주주들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이런 문화가 정착되어야 소액투자자들의 투자도 활성화되고 우리경제의 역동성도 확보될 것이다.

 

2016.02.28 조세훈

조선경제 기고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