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chives: 9월 2015

이룸상품 언제 가입하면 좋아요?

9월 11일, 2015년|

투자상담을 하다보면 많이 듣게되는 질문 중의 하나이다. 이룸투자자문이 잘 하는건 알겠는데 그래도 언제 가입하는것이 최적의 타이밍인지 궁금한 것이다. 그럴때마다 필자는 망설임 없이 대답한다

“생각날때 바로 가입하세요”

얼핏 생각하면 향후 주식시장의 전망을 매우 좋게 바라보는구나 라고 느낄 수 있다. 아니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영업용 멘트라는 의심도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둘 다 아니다. 생각날때 바로 가입하라고 조언하는 이면에는 우리도 향후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이다. 막연히 생각하면 주식시장의 상승과 하락, 확률은 50%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기간의 문제도 있고 정도의 문제도 있다. 또 전 세계 각국의 경제와 금융시장이 연결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요즘은 주식시장을 예상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변수들이 너무나 많다. 그래서 주식시장이 언제부터 얼마나 올라갈것인가 언제부터 얼마나 떨어질것인가를 알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룸은 기업분석에 집중한다. 기업의 사업모델을 파악하고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회사를 방문해 향후 전략과 리스크에 대해 꼼꼼히 체크한다. 기업을 분석하는 일 또한 한정된 정보와 여러 변수들로 인해 쉬운것만은 아니지만 주식시장을 예상하는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성공확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렇게 기업분석에 매진해서 성공확률이 높아 보이는 20~30개의 종목을 골라 분산투자를 한다. 주식시장은 2000개 기업의 집합이지만 이룸의 포트폴리오는 그 중에 좋아보이는 20~30개이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는 적게 하락하고 주식시장이 상승할때는 더 상승하는 것이다. 주식시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정확히 알기 어려운 상황에서 최대한 생각날때 이룸상품에  가입하라는 이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타이밍을 찾는 분들을 위해서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드리고자 한다. 이룸의 과거 수익률 추이를 보고 언제 시점에 가입했으면 가장 좋았을지 한번 추적해보는 것이다.

이룸수익

홈페이지에 조세훈 대표의 2001년부터의 수익률 기록이 있지만 편의상 최근 4년간의 그래프를 기준으로 살펴 보겠다. 4년 가까이 주식시장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반면 이룸은 약 70%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4년 가까이 이룸이 꾸준히 우상향 하는 과정에서 최적의 가입 타이밍이라고 볼 수 있는 시점들을 빨간색 원으로 체크해 보았다. 그러면 저 빨간색 원이 위치한 시점들에서 한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주식시장 역시 많이 하락한 시점인데 저 시기들을 돌이켜 보면 여러 이유들로 주식시장에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주가가 하락한 구간이다.   반대로 파란색 원으로 체크한 이룸의 수익률이 단기 고점인 경우에는 주식시장 역시 어느정도는 상승한 국면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직전 고점을 넘어서기까지 가장 오래 걸린 기간은 2013년 5월에 가입했다는 가정을 기준으로 약 10개월 정도였다.

정리해보면 1년 이상의 여유자금일 경우 빨리 가입할 수록 그리고 주식시장이 하락국면에 있을 때 가입하는  것이 유리했다. 하지만 하락국면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은 투자전문회사인 이룸도 쉽게 하지 못하는 주식시장 전망을 해야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그 시점을 찾다가 자칫 긴 상승국면을 놓칠수도 있어 보인다. 그래서 필자는 투자상담을 할때 큰 고민 없이 말씀을 드린다.

“생각날때 바로 가입하세요”

 

 

 

 

 

세상을 바꾼 비즈니스 모델 70

9월 11일, 2015년|

세상을 바꾼

비즈니스 모델은 어떤 상품을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판매할 것인가를 정리한 사업의 기본 설계도이다

이 책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설명하며 지금까지 세상의 변화를 가져왔던 비즈니스 모델들을 소개 하고 있다

언급하는 대부분이 이미 알려진 기업들이지만 이들을 일관되게 비즈니스 모델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101가지 비즈니스 모델 이야기

9월 11일, 2015년|

 

101가지

 

세상에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지금까지 유지되어 온 비즈니스 모델도 있지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비즈니스 모델도 많다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탄생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모바일 혁명 이후 전 세계적인 창업 열풍은 예전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들었던

비즈니스 모델들의 탄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흐름속에서 최근 어떠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탄생했고 진행중인지 관심있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지금까지 생각했던 모든 것을 잊어라!

9월 9일, 2015년|

투자자들이 맹신하는 가격 지표들은 믿을 수 있는가?

흔히들 투자자들이 바이블처럼 여겨온 ‘가격 지표’는 주가 예측이 도움이 되는가? 저PER, 저PBR 주식들의 향후 주가 수익률이 탁월한가? 과연 우리는 여기에 대해서 고민은 했고 검증은 해봤는가? 위의 질문들이 과연 우스꽝스러운 이야기로 들리는가? 이 모든 질문들에 대해서 명확한 답을 제시하는 것은 어렵다. 실제로 2012년 이후 가격 지표가 낮은 주식들 보다는 성장에 대한 프리미엄이 부여된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런 현상이 비단 현 시점에만 있었던 것일까? 누군가 여기에 대해서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 좋겠지만, 실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인이 알고 있는 가격 지표는 모두가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과거 유명한 투자자들이 이야기했던 저PER, 저PBR의 주식에 투자하면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 나는 개인적으로 부정적이다. 그 이유는 아주 단순한데, 과거에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컸었던 반면 현재는 주요 기업들의 추정치에 대해서 손쉽게 볼 수 있는 점 때문이다. 가령 A라는 기업의 PER이 8.0배 수준에서 거래된다고 가정해보자. 이는 시장 평균 혹은 과거 PER대비 현저하게 낮은 수치라고 생각해보자. 저PER 주식이 초과수익을 거둔다고 가정해볼때 A라는 기업의 주가는 빠르게 상승해야 합리적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왜일까? 내가 생각하는 이유는 위의 정보를 누구나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수십년전 저PER주의 개념은 남들이 주목하지 않은 기업들 중에서 이익대비 주가가 낮다면 주가는 이익창출능력 수준까지 상승해야 한다는 것인데, 현재는 남들이 전부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는 것이다. 만일 시가총액이 작아서 많은 투자자들이 잘 모르는 기업의 경우라면 과거처럼 저PER 주식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지만, 지금은 그렇게 소외받는 주식들이 많지 않다는 점이 과거와의 차이점이다. 결국 남들이 아는 정보를 가지고 시장대비 초과 수익을 거둔다는 것에 대해서 나는 회의적이다.

결국은 비즈니스 모델이다!

30여년전 슈퍼스탁스라는 책을 통해  PSR지표를 시장에 처음 알렸던 켄피셔는 2006년 저술한 책에서 본인이 신뢰했던 PSR을 더이상 크게 신뢰하지 않는다고 했다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모든 애널리스트 보고서에 나와있는 PSR지표는 더이상 주가를 예측하는데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투자자들은 무엇을 근거로 투자를 해야하는가? 아직 나도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이룸투자자문에서 끊임없는 고민을 하고 있는 중이다. 다만, 짧은 경험으로 현재까지 내린 결론은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끊임없이 변화한다. 좋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도 혹은 나쁜 방향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손으로 물고기를 잡는 것이 어려운 것처럼 살아있는 생물처럼 움직이는 기업의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고 그 모델을 통해서 창출할 수 있는 수익을 분석하는 전략 만이 현재의 가격에 초점을 맞춰서 투자하는 전략보다 향후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아무리 비즈니스 모델이 훌륭하고 현재 창출하고 있는 수익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가격이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면 투자가치는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낮은 가격이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가격이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점차 개선되고 있고 지금은 수익 창출 능력이 낮지만, 향후에 개선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인해 이익 증가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면 해당 주식에 대해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더욱이 시장에 관심이 적은 종목이라면 최적의 투자대상이라고 나는 생각한다.